
Gitlab의 CI/CD를 하기 위해선 runner를 등록을 해야 가능합니다. runner는 총 3가지의 형태가 있습니다. shared runner : 모든 Gitlab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runnerGroup runner : 해당 그룹의 프로젝트에서 공유하는 runnerSpecific runner : 특정 프로젝트에서만 동작하는 runner전 specific runner등록을 진행합니다.GitLab-runner 를 아래의 명령어로 실행하면 container가 올라옵니다.docker run --detach \--name gitlab-runner \--restart always \--volume /srv/gitlab-runner/config:/etc/gitlab-runner \--volume /var/ru..

간혹 npm install을 하다보니 node-sass@4.14.1 postinstall: `node scripts/build.js` 와 같은 에러가 발생이 되기도 합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선, 해당 버전을 맞춰서 설치를 해주면됩니다. 먼저, 이런 에러가 발생이 되었으면 cache를 삭제를 합니다. # npm 캐쉬 삭제 npm cache clean -f # node_modules 삭제 rm -rf node_modules 이후 원하는 nodejs에 맞는 node-sass@4.14.1 지정을 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 node-sass@4.14.1 을 지정을 하여 설치 npm install node-sass@4.14.1 --unsafe-perm=true --allow-root install이 성공적으로..
CentOS에서 yum으로 nodejs를 설치를 하면 최신 버전이 아닌 이전 버전이 설치가 됩니다. 만약 원하는 버전이 있거나, 최신 버전이 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저는 nodejs yum으로 설치를 하니 v10이 설치가 되어 원하는 버전인 v16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습니다. 1. 프록시 설정이 필요하면 설치 스크립트의 curl 에 프록시 설정을 모두 추가해야 하는데, 전 따로 설정하지 않음 2.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설치된 nodejs를 삭제하고, 로컬의 캐쉬를 삭제후, 설치하면 됩니다. # nodejs 16 버전 설치를 위한 레파지토리 설정 # 해당 파일을 로컬에 저장하고, 실행해도 가능 # 버전 확인은 https://rpm.nodesource.com 사이트에서 확인..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