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0aOJ/btsEmFvSCqh/XQuNlTmWoAXa5iJMQC5vsk/img.png)
1. 개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Datasync를 사용해서 Data 이관을 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값인 Activation Key를 등록을 해야 Agent 설정이 되는데 해당 내용에 대해서 글을 작성을 하려고 합니다. 모든 기준은 AWS 인프라를 기준으로 작성을 하였으며, 다른 방식을 사용을 하시는 분은 해당글을 참고를 하여 확인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Datasync의 경우 Agent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Activation Key를 확인 후 기입을 해야 합니다. Datasync에서 제공하는 Agent 방식은 6가지 방법을 제공을 하며, 원하는 방식의 Agent를 배포를 합니다. VMware KVM Microsoft Hyper-V EC2 Snowcone Outposts 원하는 형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ShVA/btsEdZvGawy/z108g1yHA8F6ZOUkpH6Hl1/img.png)
기존 EC2 Amazon linux2 가지는 IMDSv1이 기본값이었으나, Amazon linux 2023부터는 기본값이 IMDSv2로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IMDSv2에 대한 방식은 기존 v1에서 사용하던 방식과는 다르고 Token을 발급을 하여 정보를 받아서 보다 향상된 보안을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IMDSv2은 세션지향요청을 사용을 하고 있어서 IMDSv1의 요청, 응답 방식과는 다르게 보안이 향상됨 세션은 최대 1초에서 6시간까지 제공 그렇다고 정보를 조회하는 방법은 동일하지만, 정보를 조회 전 Token을 먼저 발급받으면 되므로 크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사용방법 TOKEN을 발급 TOKEN=`curl -X PUT "http://169.254.169.254/latest/api/token" -H..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q0ti/btq7EeS1n7p/uVIkmTCma5BOZeA0ps7yZK/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는 간단하게 AWS에서 제공하는 많은 서비스의 상태를 한번에 확인이 가능한 사이트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AWS, GCP, Azure등 많은 클라우드 업체는 제공하는 서비스가 많고, Region도 많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서비스의 장애나 현재 상태에 대해서 궁금해 할 수있는데, AWS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홈페이지를 제공을 하여 한눈에 사용자들이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status.aws.amazon.com/ AWS Service Health Dashboard - Jun 20, 2021 PDT status.aws.amazon.com 장점 한눈에 각 Region별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 가능 사내 서비스 장애 시 Region 장애 여부 확인 ..
- Total
- Today
- Yesterday